-
가볍게 가볍게 해 나가도록 해보자.경험/개인독학 교육 2016. 7. 16. 21:09
서버 관리와 시스템 관리자를 구글에서 검색하니
나온 내용.
[시스템 관리자가 하는 일]
1. 정책 설정하기 ( 사용할 서비스 목록, 네트웍 구성, etc )
=> 이건 아직은 무리....
2. 설치하기 ( 랜설치, 장비 셋팅, 기타 잡다 업무 )
=> 이건 주로 유지보수 업체에서 담당
3. 유지 보수 ( 백업, 로그감시, 기타 )
=> 백업정책은 100% 담당하지 않고 있음. 관리는 점점 담당으로 오고 있다.
로그 감시는 로그 감시 전용 프로그램있음
4. 감사 ( 유지 보수와 크게 다르지 않다. 하지만, 좀더 보안적이면이 많다 )
=> 이건 잘 모르겠다.
5. 문서화 ( 모든 정보는 문서화 )
=> 기초적인 건 해 놨지만 좀 더 자세하게 해야 할 것 같은 필요성을 느낀다.
일단은 현재는 이렇다.
특히 내가 요즘 많이 하고 있는건 백업관리 인데
다음주부터
우선 백업관련 대비를 좀 해볼 생각이다.
회사에서 사용중인 백업툴중
아크로니스 라는 것이 있는데
이것을 이용해 서버 복구 작업을 좀 고생해 보니
관련 대비를 좀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.
그에 관한 내용은 다음에 좀 더 자세히 써야 할 것 같다.
이런게 참 두렵다...^^;;;;
그래도 가볍게 가볍게.....
'경험 > 개인독학 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 서버 2008 497일 버그를 접하다.... (0) 2016.08.07 워크스테이션 윈도우 7 부팅 멈춤 증상을 일단 해결.... (1) 2016.07.29 어떻하지..ㅋㅋㅋㅋㅋ 도망갈까?ㅋㅋㅋㅋㅋㅋ (0) 2016.07.05 HDD 교체 후 반납시 데이터 삭제작업의 고민.... (0) 2016.06.19 용량 1.9TB 마이그레이션을 주말 내내 진행했다. (0) 2016.06.12